
타워크레인은 “하늘을 세우는 작업”이다
타워크레인은 현장의 중심이자 동시에 가장 높은 위험을 가진 장비다.
설치할 때는 높이·균형·지지 기반이 중요하고,
해체할 때는 역순 해체, 충돌 제어, 낙하물 방지가 관건이다.
매년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관련 사고는
추락, 붕괴, 충돌, 장비 전도 등으로 이어지며,
한 건의 사고가 수십 명의 피해와 거액의 손실로 이어지곤 한다.
이 글은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시 반드시 지켜야 할
법적 기준과 실무 절차, 예방 전략을 한 데 모은 안내서다.
법적 기준과 설치·해체 허가 요건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작업은 단순한 크레인 작업이 아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와 시행규칙, 그리고 특별 고시 규정들이
설치·해체 시점부터 엄격한 안전기준을 요구한다.
| 설치 허가 | 건축물 공사허가와 연계 | 도로 점용 허가, 작업 범위 허가 필요 |
| 구조검토서 제도 | 타워크레인 구조검토 필수 | 설계하중, 바람하중, 기반지지력 계산 포함 |
| 설치 작업자 교육 | 특별교육 의무 |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관련 근로자 교육 (8시간 이상) |
| 안전장치 기준 | 난간, 난간 플랫폼, 발판 등 | 설치·해체 시 고소작업 기준 준수 |
| 작업허가 및 감시자 | 설치·해체 전 허가 및 전담 감시자 배치 | 감시자는 설치·해체 중 줄곧 현장 상주 |
특히, 2025년 개정 법률에서는
높이 100m 이상 설치·해체 작업 시 전문 기술자 검토 및 감독 의무가 추가되었다.
⚠️ 구조검토서 없이 설치하는 타워크레인은
감독관 입장에서는 증거가 아니라 위법의 증거다.
설치 작업 시 필수 절차 및 안전 수칙
① 기초 및 기초블록 확보
- 굴착·다짐 작업 완료 후 초벌 기초블록 설치
- 블록 배치와 강도·지반 침하 유무 확인
- 블록 침하 방지를 위한 저판(판넬) 설치
② 타워크레인 조립 순서와 안전조치
- 먼저 하부 Mast(주탑)를 세우고, 이후 Boom(작업암) 설치
- Mast 조립 시 임시 비계 또는 거푸집 보조구 사용
- Bolts·Pins는 규격·강도 확인 후 완전 체결
- 낙하물 방지를 위해 Boom 설치 시 방호덮개·스파터 커버 사용
③ 설치 완료 후 안정성 검사
- 설치 완료 시 타워크레인 시험 운전 (무부하 → 경하중 → 실하중)
- 바람·진동 상태 점검
- 균형 측정 및 안전장치 작동 확인
해체 작업 시 주의사항 및 절차
① 해체 전 사전 허가·점검
- 해체 허가서 작성 및 소장 승인
- 해체 계획서에는 역순 해체 순서, 인양 속도, 낙하물 제어 방안 명시
② 역순 해체의 기본 원칙
- 설치 순서의 역순으로 해체: Boom → Mast → 기초
- 단독 해체 금지, 동시 철거 최소화
- 해체 중 흔들림 방지를 위해 고정로프 유지
③ 하부 통제 및 낙하물 방지
- 하부 작업자는 반드시 피신 또는 보호 구조 확보
- 인양물 하부 출입 통제, 반경 10m 이상 접근 금지
- 구조물이 제거되면 즉시 표면 지지 보강
사고 예방을 위한 실무 팁
1️⃣ 바람 예보 체크 필수
- 고소작업 시 풍속 15m/s 이상이면 작업 중단
- 타워크레인 자체 풍속계 또는 기상정보 연동
2️⃣ 안전거리 확보
- 인접 건축물·추락 방지망 등과의 거리 3m 이상 확보
- 전선·도로 위 설치 시 전력선 거리 준수
3️⃣ 통신체계 명확화
- 설치·해체 시 신호수 2명 지정, 무전기 + 수신호 병행
- TBM 때 신호 규칙 반드시 공유
4️⃣ 점검 및 기록 철저
- 설치·해체 전·후 사진 및 동영상 기록
- 검사표·점검일지·구조검토서 일체 보존
5️⃣ 재해 대비 구조 계획 수립
- 사고 발생 시 구조 루트 사전확정
- 구조 로프, 인양장비, 응급조치 키트 상시 준비
실제 사례로 배우는 교훈
사례 ① ○○건설(2024, 전주 탑설치 사고)
타워크레인 설치 중 Mast 일부 낙하 → 작업자 2명 사상
원인: Bolts 체결 미흡, 작업감시자 부재
→ 관련자 형사기소, 회사 벌금 수천만 원
사례 ② △△토목(2023, 해체 사고)
해체 중 Boom 해체 순서 오류로 붐이 전도, 인근 차량 파손
→ 해체 계획서 미비, 해체자 신호 혼선 확인
→ 현장소장 벌금, 안전팀장 업무정지 처분
사례 ③ □□산업(2025, 고장 해체 시 사고 예방)
해체 전 감속장치 이상 발견, 즉시 대체 공구 반입
→ 사고 없이 해체 완료
→ 감독관 점검 시 “우수 준수업체” 선정
“타워크레인은 천천히 세우는 것이 아니라,
조심스럽게 지어야 한다.”
감독 대비 체크리스트
| ① | 구조검토서 | 계산식·안전율·설계자 서명 포함 여부 |
| ② | 설치허가서 | 도로 점용, 주변 통제 허가 포함 여부 |
| ③ | 점검기록 | Bolts, Pins, Mast, Boom 점검표 확인 |
| ④ | 통신체계 | 신호수 지정 및 무전기 상태 점검 |
| ⑤ | 낙하물 통제 | 하부 접근 금지선, 안전 가림망 |
| ⑥ | 바람계측 | 풍속계 설치 여부 및 기록 확인 |
| ⑦ | 해체계획서 | 역순 해체 순서 및 구조물 보강 계획 |
이 체크리스트가 완비돼 있다면
감독관 방문 시 좋은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결론 – 타워크레인은 ‘신뢰’의 구조물이다
타워크레인은 공중에 세우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은 실수, 작은 허점이 큰 사고로 이어진다.
하지만 구조검토서, 점검, 통신, 관리만 충실히 해도
위험은 90% 이상 예방할 수 있다.
“타워크레인은 높이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을 경쟁하는 것이다.”
“공중에서 시작되는 신뢰가 땅으로 이어진다.”
한 번의 설치부터 해체까지
모든 단계에 집중하고 점검하면,
그 현장은 사고 아닌 안전의 구조가 된다.
'산업안전보건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작업 전 회의(TBM) 운영 완벽가이드 – 10분이 생명을 바꾼다 (0) | 2025.11.03 |
|---|---|
| 안전관리자의 하루 루틴 – 현장을 지키는 10가지 습관 (0) | 2025.11.03 |
| 중대재해처벌법 실무 완벽이해 – 안전관리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대응 전략 (0) | 2025.10.16 |
| 가스절삭·용접 작업 안전관리 – 불꽃 뒤에 숨은 위험을 통제하라 (0) | 2025.10.16 |
| 크레인·양중작업 안전수칙 – 무게보다 무서운 건 방심이다 (0) | 2025.10.16 |
|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과 대응체계 – 보이지 않는 공기의 함정 (0) | 2025.10.16 |
| 건설현장 화재·폭발 사고 예방과 대응 매뉴얼 – 불길보다 빠른 판단이 생명을 살린다 (0) | 2025.10.16 |
| 건설현장 전기감전 사고 예방대책 – 보이지 않는 전류가 만든 재해 (0) | 202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