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보건법

가스절삭·용접 작업 안전관리 – 불꽃 뒤에 숨은 위험을 통제하라

by safety-blog 2025. 10. 16.

“불꽃은 아름답지만, 안전을 삼킨다”

건설현장에서 용접과 절단은 가장 빈번히 수행되는 공정이다.
철골 조립, 배관 연결, 철판 가공 등 거의 모든 현장에 불꽃이 튄다.
하지만 이 불꽃은 아름다운 작업의 상징이자, 동시에 재해의 시작이다.

2024년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용접·용단 작업 중 화재사고 비율은 전체의 41%,
그중 절반은 불티 비산으로 발생했다.
또한, 가스통 폭발로 인한 사망사고도 매년 10건 이상 보고되고 있다.

“용접은 기술이 아니라 습관이다.
불꽃을 다루는 습관이 생명을 지킨다.”


 

가스절삭·용접 작업 안전관리 – 불꽃 뒤에 숨은 위험을 통제하라

 법이 정한 용접·용단 작업의 안전조치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 제1항은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사업주는 화재·폭발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용접·용단 작업을 하는 경우,
근로자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시행규칙 별표10에서는 구체적인 조치사항을 제시한다.

구분조치 사항세부 내용
작업허가제 용접 전 ‘화기작업허가서’ 승인 필수
화재감시자 배치 1명 이상 상주, 소화기·방화포 비치
불티비산 방지 방호포, 단열판 설치, 가연물 반출
가스통 관리 직사광선 차단, 밸브 보호캡 부착
산소·아세틸렌 분리보관 5m 이상 거리 또는 방화벽 설치
역화방지기 설치 산소·아세틸렌 호스 양단 모두 설치
화재 후 잔불감시 작업 후 30분 이상 현장 대기

이 조항을 위반할 경우,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67조에 따라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다.


 

 용접·절단 작업 중 주요 재해 유형 5가지

1️⃣ 불티비산 화재 – 단열재, 목재, 폐기물 착화
2️⃣ 가스누출 폭발 – 호스 파손·밸브 불량
3️⃣ 용접흄 질식 – 환기 미비, 밀폐공간 용접
4️⃣ 역화 사고 – 역화방지기 미설치 또는 고장
5️⃣ 산소통 전도 – 고압용기 고정 미흡, 밸브 파손

“용접사고의 80%는 불티가 아닌, 부주의에서 시작된다.”


 

 용접작업 7대 실무수칙

1. 작업 전 ‘화기작업허가서’ 승인 필수

  • 안전관리자 또는 소장 승인 후 작업 가능
  • 허가서에는 작업장소, 작업자, 가연물 위치, 소화기 배치 명시
  • 무허가 작업 적발 시 즉시 작업중지 명령

2. 불티비산 방지조치

  • 작업 반경 5m 이내 가연물 제거
  • 이동 불가 시 방화포 또는 단열판으로 완전 차단
  • 바람이 강한 날은 불티 비산방지막 추가 설치

3. 가스통 보관·운반 기준 준수

  • 산소통과 아세틸렌통은 5m 이상 떨어뜨리거나 방화벽 설치
  • 사용 후 밸브 잠금 및 보호캡 장착
  • 운반 시 통을 눕히지 않고 세워서 고정

4. 역화방지기 설치 및 점검

  • 산소·가스 호스 양단 모두 역화방지기 장착
  • 하루 1회 이상 역화방지기 및 밸브 누설점검
  • 불꽃 역류 시 즉시 밸브 차단 후 원인 확인

5. 용접기·전선 상태 점검

  • 피복 손상, 절연불량, 스파크 흔적 확인
  • 절연테이프 임시보수 금지, 즉시 교체

6. 환기 확보 및 흄 제거

  • 밀폐공간 용접 시 환기팬 설치 및 가스농도 측정
  • 송기마스크 착용, 감시인 배치

7. 작업 후 잔불감시 30분 이상

  • 불티가 단열재·목재 내부에 남아 있을 수 있음
  • 소화기 외에도 모래, 물통 비치 필수

“불꽃은 꺼졌다고 끝이 아니다.
잔불은 기다리는 재해다.”


 

 실제 사례로 본 용접사고의 교훈

사례 ① ○○건설(2024)

지하층 용접 중 불티가 단열재 착화 → 화재 확산.
→ 화재감시자 미배치, 방화포 미설치.
→ 손실액 5억 원,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사례 ② △△플랜트(2023)

가스통 밸브 불량으로 폭발 발생.
→ 밸브캡 미장착, 직사광선 노출.
→ 작업자 2명 중상, 업체 영업정지.

사례 ③ □□토건(2025)

용접 중 역화 발생했으나,
역화방지기 정상 작동으로 대형사고 방지.
→ 관리감독자 “즉시점검제” 운영으로 사고 0건 유지.

“용접의 기술이 아니라, 관리의 습관이 안전을 만든다.”


 

 감독 대비 체크리스트

항목점검내용세부기준
화기작업허가서 서명, 감시자 지정, 가연물 반출기록 포함
역화방지기 양단 설치, 작동상태 확인
가스통 관리대장 보관위치, 분리거리, 밸브상태 점검
불티방지조치 방화포 설치, 가연물 제거 사진기록
잔불감시 기록 작업 후 30분 이상 감시 여부
TBM 교육기록 용접안전 항목 포함 여부

감독관 점검 시 이 6항목이 완비되어 있으면
“적극이행사업장” 판정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결론 – 불꽃보다 빠른 점검이 생명을 지킨다

용접작업은 현장의 필수공정이지만,
그만큼 화재와 폭발의 위험도 가장 높다.
그러나 모든 사고는 불가항력이 아니라,
조금 더 빠른 점검과 절차 준수로 예방할 수 있다.

“불꽃을 다루는 사람은
항상 불보다 빨라야 한다.”

“용접의 끝은 불꽃이 아니라 점검이다.”

오늘 한 번의 점검이 내일 한 사람의 생명을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