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64 전기·용접 작업 안전 – 감전·화재·폭발 방지 종합판 (2025 확장판) “전기는 조용하고, 불꽃은 작지만… 죽음은 순식간이다”전기·용접 작업은 건설현장의 거의 모든 공정에서 이루어진다.전기 배선, 배관 설치, 기계 설치, 철골·철근 용접, 배관 용단 등현장 곳곳에 쓰인다.하지만 이 두 작업은건설재해 중 가장 치명적인 사고를 발생시키는 공정이기도 하다.전기는보이지 않고냄새가 없고순간적으로 몸을 통과하며심장과 신경을 직접 공격한다.용접은열불꽃금속 슬래그가스이 동시에 존재하며폭발·화재·질식까지 일으킬 수 있다.2024년 기준 건설업 감전·화재 사고 통계전기 감전 사망률: 일반 재해의 6.3배용접 화재 사고: 1회 사고 시 평균 피해액 2억 이상“전기와 불꽃은 작지만, 한 번의 실수가 현장을 불태운다.”② 전기·용접 사고가 위험한 이유전기·용접 사고는 발생 원인보다사고 결과가 너무.. 2025. 11. 22. 토공사 작업 안전 – 붕괴·협착·장비 충돌 방지 완전판 “흙은 조용히 있지만, 언제든 무너질 준비가 되어 있다”토공사(Earthwork)는 건설 공정 중 가장 기초가 되는 작업이다.기초공사, 절토·성토, 굴착, 배수, 지반정비 등건축·토목을 막론하고 거의 모든 현장에서 이루어진다.하지만 토공사는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이 가장 많은 공정이기도 하다.흙은 단단해 보이지만수분압력진동장비 하중지하수하나만 변해도 순간적으로 붕괴할 수 있다.2024년 기준 건설업 사망사고 분석에서“토사·지반 붕괴”는 사망사고의 **21%**를 차지했다.협착사고, 장비 전도, 굴착면 붕괴까지 포함하면총 비율은 35~40%에 달한다.“토공사는 지반을 다루는 작업이 아니라,지반의 ‘성질’을 이해하는 작업이다.” 토공사의 5대 위험 – 땅은 항상 변하고 있다토공사는 단순히 굴착·성토가 아니라.. 2025. 11. 21. 콘크리트 타설 안전 – 압력·폼워크 붕괴·동시작업 위험 완전 정리 “콘크리트는 흘러내리는 재료가 아니라, 거푸집을 무너뜨릴 수 있는 힘이다”콘크리트 타설은 건설현장에서 가장 자주 이루어지는 공정이다.매일 반복되지만,사고가 나면 즉시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위험한 작업이다.왜냐하면 콘크리트는단순한 “액체”가 아니라수백 톤의 압력(Pressure)을 만드는 재료이기 때문이다.폼워크(거푸집)는처음에는 단단해 보이지만타설 과정에서수평압측압진동유속이 동시에 작용한다.조금만 계산이 어긋나면폼워크가 ‘순간 붕괴’하며대량 매몰·사망 사고로 이어진다.“타설은 서서히 넣는 작업이 아니라,순간적으로 무너질 수 있는 위험을 다루는 작업이다.”2025년 기준 최신 안전기준과 실제 현장 사례를 토대로콘크리트 타설 사고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을 정리했다. 콘크리트 타설 사고가 치명적인 이.. 2025. 11. 21. 비계공사 안전 완전 가이드 – 추락·전도 예방 2025 최신판 “비계는 올라가기 위한 구조가 아니라, 떨어지지 않기 위한 구조다”비계(Scaffold)는 건설현장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작업 구조물이다.하지만 가장 많이 사고가 나는 곳 역시 비계다.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통계에 따르면전체 건설업 추락사망자의 약 49%가 비계에서 발생한다.그 이유는 명확하다.항상 높은 곳에서 작업하고발판은 흔들릴 수 있고난간이 제거되기도 하고자재가 뒤엉켜 있고작업자가 과신하거나설치 불량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비계 사고는 한 번 일어나면추락 → 전도 → 낙하물 → 협착이 연쇄적으로 발생한다.“비계는 사람을 위로 올려주지만,관리가 부족하면 아래로 떨어뜨린다.”2025년 새로운 KOSHA 규정과현장의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비계공사 안전을 완전 정복하는 방법을 정리했다. 비계의 종류와 위험 .. 2025. 11. 20. 밀폐공간 작업 안전 – 질식·가스·붕괴 방지 완전해설 “밀폐공간은 조용히 죽음이 찾아오는 곳이다”건설현장에서 가장 무서운 사고는크게 소리 내며 무너지는 사고가 아니라,아무 소리 없이 사람이 쓰러지는 질식 사고다.밀폐공간은공기가 잘 통하지 않고가스가 빠져나가지 않으며산소가 줄어들고구조도 어렵기 때문에사고 발생 시 생존 가능성이 매우 낮다.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통계에 따르면밀폐공간 질식사고의 사망률은 63%,동반사고(구조자 사망 포함) 비율은 **54%**이다.“밀폐공간에서 한 명이 쓰러지면,대부분 두 명이 더 쓰러진다.”이 글에서는현장 관리자·안전관리자·근로자 모두가 반드시 알아야 할2025년 최신 밀폐공간 사고 예방 전략을 다룬다. 밀폐공간이란 무엇인가? – 모르면 죽는다산업안전보건법은 밀폐공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산소 결핍 또는 유해가스가 발생.. 2025. 11. 20. 위험성평가 고급전략 – 공정별·팀별 평가 제대로 하는 법 “위험성평가는 종이작업이 아니라, 생명을 살리는 분석이다”많은 현장에서 위험성평가는 ‘의무서류’처럼 취급된다.형식적으로 작성하고,책상 서랍에 넣어두고,감사 때만 다시 꺼내는 서류.그러나 진짜 위험성평가는중대재해를 막는 현장의 안전 로직(Safety Logic) 이다.왜냐하면 위험성평가는‘사고가 일어나기 전에 위험을 찾아 없애는 기술’이기 때문이다.“위험성평가를 잘하는 곳은 사고가 없고,위험성평가를 흉내만 내는 곳은 사고가 반복된다.”2025년 기준,중대재해처벌법은 위험성평가 운영 수준을경영책임자 처벌 여부의 핵심 기준으로 보고 있다.따라서 이제 위험성평가는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기업의 ‘생존전략’이다. 위험성평가가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 5가지수많은 사고 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문제는 다음과 같다.1.. 2025. 11. 19. 이전 1 2 3 4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