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대사고 후 현장 복귀 절차 – 재해 이후가 진짜 시작이다

by safety-blog 2025. 11. 5.

사고는 끝이 아니라 ‘복귀의 시작’이다

건설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모든 작업이 멈춘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복귀’다.
중대재해처벌법 제정 이후, 사고 후 복구절차는 단순한 재개가 아니라 **“재발방지 시스템 구축”**이 핵심이 되었다.

사고 후 복귀를 서두르다 두 번째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복귀는 빠름이 아니라, 준비의 완성으로 결정된다.”


중대사고 후 현장 복귀 절차 – 재해 이후가 진짜 시작이다

 사고 직후의 5단계 대응 프로세스

단계주요조치세부내용
사고현장 보존 2차 사고 방지, 접근통제, 사진기록
응급조치 및 보고 1시간 내 노동청, 경찰, 발주처 신고
원인조사 착수 사고원인, 관리체계, 인적요인 분석
개선대책 수립 공정·장비·관리절차 수정
복귀심사 및 승인 발주처·감독관 승인 후 재가동

특히 “복귀심사 보고서”는 중대재해처벌법에서 면책의 핵심 증거로 사용된다.


 

 사고조사 보고서의 핵심 구성

1️⃣ 사고개요 (발생일, 장소, 인명피해)
2️⃣ 원인분석 (기계·관리·인적요인 구분)
3️⃣ 조치내역 및 재발방지계획
4️⃣ 근로자 교육·훈련 이행결과
5️⃣ 현장점검 사진 및 개선전후 비교

“조사는 비난을 위한 게 아니라, 예방을 위한 거울이다.”


 

 복귀 전 필수 점검항목

항목기준
비계·거푸집 등 구조물 전수점검 후 이상 시 교체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개선비용 적정 집행 확인
교육 및 TBM기록 재해원인 중심 교육 실시 증빙
위험성평가 갱신 동일 공정 전면 재평가
발주처 승인서 서면승인 후만 작업 가능

 

 실무사례

2024년 ○○건설 현장에서는 타워크레인 전도사고 이후
복귀 전 14일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TBM 3회 추가교육을 진행했다.
그 결과 1년간 무재해를 유지하며 ‘모범복귀사업장’으로 선정되었다.

“복귀는 재개가 아니라, 다시 배우는 과정이다.”


 

 결론

“사고를 잊지 말고, 구조로 바꿔라.”
복귀는 다시 시작이지만,
이번에는 더 안전하게 돌아와야 한다.